"서울대 경제학부 신입생마저도 처음…이게 현실입니다"
페이지 정보
KCEE 작성일23-08-10 15:11 조회1,55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1) 99%가 외면하는 경제과목
수능서 경제 선택 1%뿐…5년 후 퇴출 위기
2007년 16%서 계속 떨어져
경제학과 지망생도 과목 외면
초·중·고 경제 이해력 60점 그쳐
경제 교육이 빈사 상태에 빠졌다. 경제 과목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 비율이 1%대로 고꾸라졌고 그나마 2028학년도 수능에서 퇴출될 위기다. 대학 경제학과에 입학하려는 수험생까지 경제 수업을 듣지 않을 정도로 일선 교육 현장에서 철저히 외면받고 있다. 경제 수업이 어렵고, 성적을 내기에도 불리하다는 인식이 퍼진 결과다. 사회에서 경제 지식이 중요해진 시대 흐름에 맞지 않게 교육 현장은 거꾸로 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6월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에서 응시생 38만1673명 중 경제 과목 선택자는 5588명으로 1.5%에 그쳤다. 사회탐구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 대비 비율을 따져봐도 2.9%에 불과했다.
실제 수능에서는 비율이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치러진 2023학년도 수능에서 응시 인원 44만7669명 중 경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4927명으로 1.1%에 그쳤다. 이 비율은 2007학년도 16.0%를 정점으로 하락해 2012학년도에 한 자릿수(6.0%)로 낮아졌고, 현재는 1% 선마저 언제 깨질지 모르는 상황이다.
경제 과목은 아예 수능 선택과목에서 제외될 위기다. 교육부에 따르면 2025년 고교학점제를 도입하기 위한 교과목 개편으로 현재 9개인 사회교과의 일반선택 과목을 4개로 줄이는데, 경제 등 나머지 5개 과목은 수능에 출제되지 않는 진로선택 과목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중학교 2학년 학생이 대학에 입학하는 2028학년도부터 적용될 전망이다.
국민의 경제이해력이 저조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잘못된 교육 개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초·중·고교 학생 1만5000명을 대상으로 경제이해력을 조사한 결과 평균 점수가 100점 만점에 60점 안팎에 그쳤다. 이에 따라 “학업 성취도를 높여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민세진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가 돌아가는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적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하다”며 “학생들이 초·중·고교에서 경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다 보니 성년이 돼도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 안배우고 사회 나가는 셈…"경제 문맹, 불완전판매 노출 쉬워"
경제 교육이 외면받고 있다. 국가 경제 규모는 나날이 확대되고 경제 현상도 복잡해지고 있지만 교육은 따로 가고 있다. 이대로라면 경제적 자립에 어려움을 겪는 ‘경제 문맹’을 양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민세진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에 따르면 전국 고교 1758개(특성화고·예술 계열 특목고 제외)를 전수조사한 결과, 2019년 기준으로 학생의 과목 선택이 시작되는 2학년에 경제 과목을 개설한 학교는 27.4%에 불과했다. 민 교수는 “대학에서 경제학과 등에 가지 않는 한 경제 교육은 고등학교가 마지막인데, 대부분 학생이 경제를 제대로 배우지 않고 사회에 나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행 경제 교과서가 학생들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심 교사는 “다른 사회과목은 학생들이 교과서만 보고 공부해도 경제 과목은 <맨큐의 경제학> 등을 같이 보면서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며 “학생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난이도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에 실패한 것 같다”고 말했다.
2028학년도부터는 경제가 수능 선택과목에서 제외될 전망이어서 경제 전문가들이 느끼는 위기감은 더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교육개편이 경제교육지원법 취지와 맞지 않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경제교육지원법은 4조에서 ‘국가는 경제 교육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했고, 5조에서는 ‘국민의 경제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합한 경제교육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문화했다.
전문가들은 이대로 경제 교육을 방치해선 안 된다고 입을 모은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고령자뿐만 아니라 중장년층과 청년층도 금융 지식이 부족하다보니 무리한 투자, 불완전판매, 금융사기 등 경제 관련 각종 문제에 휘말리고 있다”고 말했다.
청년재단이 지난해 20·30세대 청년 20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응답자 2명 중 1명은 무리한 대출 등을 통해 투자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응답자는 “고교 때까지 제대로 된 경제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경제 지식은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 소양이라는 의견도 있다. 차기 한국경제학회장인 김홍기 한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치권에서 각종 포퓰리즘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유권자들이 경제 지식이 부족하면 이를 제대로 여과해서 판단하지 못한다”며 “정치 발전을 위해서라도 경제 교육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제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장경호 인하대 사회교육과 교수는 “학생들이 수능에서 반드시 경제 과목에 응시하도록 해 경제 문해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한국경제신문 입력2023.08.09. 오후 5:37
기자 프로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